storage 저장 기능에 대하여 말하는거 같다
일단 단어 부터 보자
tmpfs 라는게 눈에 띤다.
예전에 aws 쓸때 메모리가 부족하여 가상의 메모리를 만들었던 기억이 있다
이녀석은 크기를 정하여 파일을 하나 만든다.
그리고 컴퓨터의 램처럼 사용가능하게 해주는 파일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면 좋다
마운트 유형으로 4개를 보여주는거 같다
volumes : 볼륨은 독립된 저장 디스크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저장되어 이미지나 시스템이 바뀌어도 그 정보를 가지고 있는 형식을 유지한다
Bind mounts : 바인드 마운트는 공유하는 폴더? 라고 생각하면 좋다
폴더를 공유하는 식으로? 현제 로컬에 있는 폴더(그외도 될거같긴함 컨테이너끼리?같이?)와 컨테이너 안에있는 폴더를 이어줌으로 데이터가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편함)
tmpfs mounts : 앞써 예기한데로 이녀석은 휘발성 데이터이다 그러므로 저장을 할수 없다.
다른 컨테이너에서 이데이터를 쓰려해도 사용할 수 없음을 유의하자. (둘다 켜져있어도 안됨)
named pipes : 이건 리눅스를 찾아보니 pipe에대한 설명으로 2가지 유형이 있다고 나온다
일단 Ordinaty pipe 와 Named pipe
Ordinaty pipe 는 외부에서 사용할수 없는 파이프로 자식과 부모 프로세스가 공유하는 식이고
Named pipe는 파이프에 별명을 붙혀 어디든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식으로 써져있다
이렇게 docker storage 에 대한 정보는 끝이낫다.
밑에는 함 읽어보셈 별로.. 음 걍 그럼
https://docs.docker.com/storage/
Manage data in Docker
docs.docker.com
'42Seoul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docker 메뉴얼 파해치기 Bind mounts (0) | 2023.03.11 |
---|---|
13. docker 메뉴얼 파해치기 Volumes (0) | 2023.03.11 |
[42 Seoul] 1. Inception Debian 으로 docker 설치하기 (1) | 2023.03.05 |
11. docker 가이드 파해치기 [Get started] part 9 (0) | 2023.03.04 |
10. docker 가이드 파해치기 [Get started] part 8 (0) | 2023.03.04 |